'변수 명명법'에 해당되는 글 1건

변수명명법

language/API 2016. 4. 26. 21:12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
변수명명법


자주 사용하는 변수 형식에 대해서 관습적으로 정해진 접두어를 많이 사용한다.

이런 변수 명명법을 헝가리식 명명법(Hungarian Naming)이라고 한다.


cb(Count of Bytes): 바이트 수

dw(double word): 부호 없는 long형 정수(unsigned)


h(handle): 윈도우, 비트맵, 파일 등의 핸들

sz(Null Terminated): NULL 종료 문자열


ch(Character): 문자형

a(Array): 배열

w(Word): 부호없는 정수형


i(Integer): 정수형

p, lp(long pointer): 포인터형

b(Bool): 논리형

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
사용자 정의 데이터형


windows.h 헤더 파일에 typedef로 선언되어 있고, 표준 데이터형처럼 사용한다.

C 타입의 데이터형을 사용하지 않고 이와 같은 중간 타입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식성을 고려해서다.


BYTE: unsigned char

CHAR: char


WORD: unsigned short

DWORD: unsigned long

LONG: long과 동일


BOOL: 정수형, true, false 중 하나의 값을 가진다.




'language > A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유니코드(Unicode)  (0) 2016.04.26
비트 OR 연산자  (0) 2016.04.26
핸들(Handle)에 대한 이해  (0) 2016.04.26
WM_SIZE  (0) 2016.04.24
API 프로그래밍의 시작  (0) 2016.04.24
블로그 이미지

saylin

,